모든 승마인은 말의 바이탈 (Vital signs)을 재는 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.
바이탈이란 말의 살아있는 징후, 즉 활력징후 또는 생명징후를 뜻합니다.
오늘은 가장 기본적인 TPR (Temperature, Pulse, Respiration)을 재는 법에 대해 알아볼건데요,
체온, 심박, 호흡수 이 세가지는 말 케어에 있어 필수적으로 숙지해야 할 바이탈값입니다.
열이 있지는 않은지, 심장 박동은 정상인지, 또한 숨이 차지는 않은지는 건강상태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.
1. 체온 (Temperature)
말의 체온은 온도계를 항문에 삽입하여 측정하게 됩니다.
흔히 혀 밑이나 겨드랑이에서 온도를 재는 체온계로 말의 꼬리를 잡아올린 후 항문을 통해 체온을 재면 됩니다.
뒷다리에 차일 수 있으니 언제나 안전이 최우선인것 명심하시구요!
2. 심박수 (Pulse)
심박수를 재는 방법은 두 가지를 알려드릴게요.
1) 청진기를 이용한 방법
청진기가 있다면, 왼쪽 앞다리 와 가슴이 만나는 부위에 청진기를 대 보세요. 말의 심장은 위 사진과 같이 위치하기 때문에, 화살표 부위에 청진기를 대면 심장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.
핸드폰 초시계를 켜고, 심장소리를 주의깊게 들어보세요. 럽-덥 (Lub-Dub) 소리 (심장이 뛰는 소리)가 들릴거에요. 이 소리를 1회박동수로 생각하시고, 15초간의 박동수를 재 줍니다. 그 후 4로 곱하면 1분 당 박동수를 알 수 있겠죠?
내 말이 휴식하고 있을 때, 운동 중, 운동이 끝난 후 등 여러 상황에서 심박수를 재고 기록해 놓는다면 말의 심장 건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거에요.
2) 얼굴의 동맥을 이용한 방법
턱 부분에 있는 동맥을 이용해 맥박을 잴 수도 있습니다.
말 왼쪽에 안전하게 서서 턱라인을 손가락 끝으로 한번 쭉 만져보세요. 중간 쯤에 연필정도의 굵기를 가진 밧줄같은 구조가 있을텐데요, 이 동맥을 이용해 맥박을 재 줍니다.
청진기를 이용했을때와 같이 15초동안의 박동수를 확인한 후 4로 곱해줍니다.
주의할점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면 안된다는 거에요 - 그러면 자기자신의 맥박과 햇갈릴 수 있으니.. 검지나 중지로 하는 게 좋습니다.
3. 호흡
호흡수는 측정하기 쉬워요. 우리가 숨을 쉬면 배가 나오고 들어가고 하는 것처럼, 말 앞에 서서 말의 배가 팽창하고, 다시 들어가고 하는 것을 1회로 잡은 후 계산하면 됩니다. 15초 x 4 아시죠?
4. 정상범위 및 유의사항
세가지의 바이탈을 측정하는 법을 알아보았는데요, 내 말의 수치는 정상범위에 속하는 걸까요?
아래 표에서 알아보겠습니다.
성마 | 망아지 | |
체온 | 37.2 - 38.3ºC | 37.5 - 38.9ºC |
심박 | 28-44 / 분 | 80-100 / 분 |
호흡 | 10-24 / 분 | 20-40 / 분 |
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, 기본적으로 정상범위를 알아두고 매일 연습해보세요!
정상범위와 큰 차이가 난다면 수의사를 부르셔야 해요. 저번 글에서 다루었던 산통 같은 심각한 질병일 수도 있습니다!
그렇다면 TPR을 측정할 떄의 유의사항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?
1. 체온계는 측정이 끝났다는 삐- 소리가 나기전에 꺼내면 온도가 잘못 표기될 수 있습니다.
2. 흥분한 말의 바이탈을 재면 정상범위보다 높게 나올 가능성이 있고, 사람에게도 위험할 수 있습니다.
3. 호흡을 잴 때 손을 코에 가져다 댈 경우 호흡수가 높게 측정될 수 있어요. 실제 호흡보다 킁킁거릴 때 더 빠르게 호흡하기 때문입니다.
4. 청진기를 심박수를 측정할 때 lub-dub 럽-덥 이 1회 박동수인데, 2회로 잘못 측정하는 경우가 많은데, 이럴 경우 심박이 높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.
여기까지 말의 기본적인 건강상태 파악을 위한 바이탈 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도움이 되셨나요?
다루었으면 하는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!
감사합니다.
홀스닥터
산통(Colic) 이란 무엇일까요? (0) | 2020.05.04 |
---|
댓글 영역